전국지표조사 리포트 제14호 (2021년 1월 3주)
조사결과 요약
대통령 국정운영 평가
– 긍정적 평가 44%, 부정적 평가 48%
– 올해 1월부터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 상승하는 양상
대선후보 적합도
– 이재명 27%, 이낙연 13%, 윤석열 10% 등의 순
– 이재명 지사가 타 후보들을 두 배 이상 앞서고 있음
정당지지도
– 더불어민주당 35%, 국민의힘 21%, 정의당 6%, 태도유보 29%
행복감
– 나는 행복하다: 그렇다 47% , 보통이다 40%, 그렇지 않다 13%
– 나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: 그렇다 67%, 보통이다 24%, 그렇지 않다 8%
– 나는 나의 이웃이나 직장동료를 신뢰한다: 그렇다 67%, 보통이다 24%, 그렇지 않다 7%
– 나는 처음 만난 사람도 신뢰한다: 그렇다 18%, 보통이다 37%, 그렇지 않다 43%
정부 코로나19 방역 대응 평가
– 긍정적 평가 68% > 부정적 평가 30%
코로나19에 대한 시민들의 상황 인식
– 심각하다 69% > 심각하지 않다 30%
– 사회적 거리두기 2.5단계 실시 이후 심각하다는 응답이 가장 낮음
코로나19에 대한 시민들의 불편감
– 불편하다 88% > 불편하지 않다 11%
사회적거리두기 조정 방안
– 정부 발표안이 적절 49% > 강화 28% > 완화 19%
코로나19 백신 전 국민 무료 접종
– 잘한 결정 87% > 잘 못 한 결정 9%
4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찬반
– 찬성 66% > 반대 30%
4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
– 코로나19 피해 계층 선별 지급 59% > 전 국민 보편 지급 40%
재보궐선거에 대한 인식
– 여당에 힘을 실어야 41% = 야당에 힘을 실어야 41%
‘전직 대통령 사면론’ 인식
– 공감하지 않음 56% > 공감 39%
※ 차트, 표를 클릭하시면 고화질 원본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.
※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시, 출처를 “전국지표조사(NBS)” 로 표기해 주세요.
대통령 국정운영 평가
긍정적 평가 44%, 부정적 평가 48%
▶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‘잘하고 있다’(매우+잘함)는 긍정적 평가는 44%, ‘잘못하고 있다’(매우+못함)는 부정적 평가는 48%임.
☞ 올해 1월부터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 상승하는 양상
대선후보 적합도
이재명 27%, 이낙연 13%, 윤석열 10% 등의 순
▶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를 보면, ‘이재명’ 지사가 27%, ‘이낙연’ 대표가 13%, ‘윤석열’ 검찰총장이 10% 순으로 높게 나타남. (‘태도유보’ 35%)
☞ ‘이재명’ 지사 지지도 상승, ‘이낙연’ 대표는 지지도 하락, ‘윤석열’ 총장은 13차 대비 6%p 하락
▶ 한편, 더불어민주당 지지층(n=349)에서는 ‘이재명’ 지사(45%)가 가장 높고, 그 다음으로 ‘이낙연’ 대표(30%)임.
▶ 국민의힘 지지층(n=210)에서는 ‘윤석열‘ 검찰총장이 34%로 가장 높고, 다음으로 ‘홍준표’ 의원(7%), ‘안철수’ 대표(6%)등의 순임.
정당지지도
더불어민주당 35%, 국민의힘 21%, 정의당 6%, 태도유보 29%
▶정당지지도는 ‘더불어민주당’이 35%로 가장 높고, 그 다음으로 ‘국민의힘’(21%), ‘정의당’(6%) 등의 순으로 나타남. (‘태도유보’ 29%)
행복감
국가 자부심 67%, 이웃•직장동료 신뢰 67%으로 높음
▶ 행복에 관한 항목에 대해 ‘대한민국 국민인 것이 자랑스럽다’와 ‘나의 이웃이나 직장동료를 신뢰한다’는 응답이 각각 67%로 높았고, ‘행복하다’는 47%, ‘처음 만난 사람도 신뢰한다’는 18%임.
☞ ’20년 7월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, ‘처음 만난 사람도 신뢰한다’라는 응답이 소폭 하락함
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응 평가
긍정적 평가 68% > 부정적 평가 30%
▶현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응에 대해 ‘잘하고 있다’(매우+잘함)라는 긍정적 평가는 68%로, ‘잘못하고 있다’(매우+못함)라는 부정적 평가 30%보다 높음.
☞ 작년 12월 3주 이후 방역 대응에 대한 긍정 평가가 상승하는 추세임
코로나19에 대한 시민들의 상황 인식
심각하다 69% > 심각하지 않다 30%
▶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‘심각하다’(매우+심각함)는 인식이 69%로, ‘심각하지 않다’(전혀+심각하지 않음)는 인식 30% 보다 매우 높음.
☞ 1월 1주 조사와 비교하여 ‘심각하다’는 응답이 14%p 하락함
코로나19에 대한 시민들의 불편감
불편하다 88% > 불편하지 않다 11%
▶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8%가 ‘불편하다’(매우+다소)고 인식함.
☞ 지난 1월 1주 조사보다 ‘불편하다’는 응답이 소폭 감소함
사회적 거리두기 조정 방안
정부 발표안이 적절 49% > 강화 28% > 완화19%
▶ 정부의 5인 이상 모임 금지와 9시 이후 영업제한은 유지하고, 다중이용시설은 엄격한 방역 수칙을 적용하는 조건으로 운영을 허용한 것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%가 ‘적절하다’라고 응답함. 정부 발표안보다 ‘강화’는 28%, ‘완화’는 19%임.
코로나19 백신 전 국민 무료 접종
잘한 결정 87% > 잘 못 한 결정 9%
▶정부의 코로나19 백신 전 국민 무료 접종 방침에 대해 응답자의 대다수인 87%가 ‘잘한 결정이다’라고 응답함. ‘잘 못 한 결정이다’라는 응답은 9%에 불과함.
4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의견
재난지원금 지급 찬성 66% > 반대 30%,
지급 대상은 피해 계층 선별 지급 59% > 전 국민 보편 지급 40%
▶ 코로나19 상황이 확산됨에 따라 4차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해 ‘찬성한다’가 66%, ‘반대한다’가 30%로 지급 찬성의견이 높음.
▶ 지급을 찬성하는 응답자에게 지급 대상을 물어본 결과,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대상에게 선별 지급이 59%로 보편 지급(40%)보다 19%p 높음.
재보궐선거에 대한 인식
여당에 힘을 실어야 41% = 야당에 힘을 실어야 41%
▶서울시장 및 부산시장 등을 뽑는 보궐선거에서 ‘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’는 응답과 ‘국정운영에 대한 심판을 위해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’는 응답이 각각 41%로 동일하게 나타남.
▶서울(44%), 부산/울산/경남(45%)의 경우 야당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여론이 상대적으로 높았음.
‘전직 대통령 사면론’ 인식
공감하지 않음 56% > 공감 39%
▶두 전직 대통령 사면 건의에 ‘공감하지 않는다’(전혀+공감하지 않음)는 응답이 56%, ‘공감한다’(매우+공감)는 응답은 39%로 나타남.
☞ 1월 3주와 비슷한 양상을 보임.
▶더불어민주당 지지층(n=349)에서는 ‘공감하지 않음’(81%), 국민의힘 지지층(n=210)에서는 ‘공감’(82%) 비율이 특히 높음.
조사개요
- 조사지역: 전국
- 조사기간: 2021년 1월 18일 ~ 1월 20일
- 조사대상(모집단): 만18세 이상 남녀
- 조사방법: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가상번호(100%)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
- 표본추출: 성・연령・지역별 층화 확률추출
- 표본크기: 1,006명 (목표할당 사례수: 1,000명. 목표할당 사례수 1,000명 기준으로 가중값을 부여했으나, 보도 시 표본크기는 1,006명으로 보도해야 함)
- 피조사자 선정방법: 성・연령・지역으로 층화된 가상번호 내 무작위추출
- 응답률: 32.5% (총 3,098명과 통화하여 그 중 1,006명과 응답 완료)
- 접촉률: 26.7%
- 가중치산출 및 적용방법: 성・연령・지역별 가중치 부여(셀가중, 2020년 1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)
- 표본오차: 95% 신뢰수준에서 ± 3.1% point
- 조사기관: 엠브레인ㆍ케이스탯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
응답자 특성
일러두기
- 본 리포트의 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으므로, 세부항목의 합이 100%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- 중복응답 문항의 경우 합이 100%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.
- 척도형 문항(예: 매우 + 다소)의 두 개 응답을 합산하여 제시하는 경우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합산하였으므로 척도의 단순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- 응답 사례수가 적은 경우 해석에 유의하여 주십시오.
- 언론 공표 혹은 인용 시에는 조사개요를 참고하여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선거여론조사 결과 공표ㆍ보도 지침에 따라 주시기 바랍니다.
담당자
- 엠브레인 송미진 수석부장(mjsong@embrain.com)
- 케이스탯 하동균 이사(kiwiha@kstat.co.kr)
- 코리아리서치 이인환 수석연구원(ihlee@kric.com)
- 한국리서치 박정석 차장(jspark@hrc.co.kr)